
1. 규칙적인 발음
프랑스어의 발음은 규칙적입니다.
단, 조합규칙들을 이해하고 발음해야 합니다.
ex) au [오], ai [애], an [엉]
프랑스어 발음법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다음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헷갈리는 프랑스어 발음법
2. 강조표시(accent)
é, è, ê, ë, ç
가끔 보면 프랑스어의 모음 위나 아래에
부호가 달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악성(accent)이라고 하며,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악성을 사용하는 이유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발음을 구별하기 위해
ex) é, è [에] vs. e [으]
2. 품사를 구별하기 위해
ex) à [아], '~에'라는 뜻의 장소전치사 vs. a [아]
3. 관습적으로 남아있는 경우
ex) î [이]
악성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께서는
이 링크를 클릭하신 뒤
11. 악성 부호 파트를 확인해 주세요!
3. 세분화된 시제(temps)
프랑스어는 시제가 많기로 유명합니다.
한번 구경만 해보시죠.

중세시대에는 시제가 더 세분화되어 복잡했는데,
시간이 흐르며 그나마 간소화되어
현대에는 주로 다음 7가지 정도만 쓰입니다.
과거 :
반과거(imparfait),
복합과거(passé composé),
단순과거(passé simple),
현재 :
현재(present),
현재 진행(progressif présent)
미래 :
근접미래(futur proche),
단순미래(futur simple)
일상생활에서는 반과거와 복합과거를 사용하며,
단순과거는 문헌에서만 사용합니다.
반과거는 영어의 현재완료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반과거는 과거에 있는 일을 묘사할 뿐,
현재에 영향이 있고 없고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복합과거를 쓰고,
묘사나 습관은 반과거를 씁니다.
현재 진행은 ~하는 중이다의 의미이고
나머지는 다 현재입니다.
근접미래는 곧 ~할 거야 라는 의미,
단순미래는 우리가 생각하는 그냥 미래입니다.
(~할 거야)
영어가 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더 상세한 설명을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How Many Verb Tenses Are There in France?
4. 명사와 형용사의 성별
프랑스어 명사에는 성별이 있고,
이 명사의 성별에 따라
명사를 수식하는 관사, 형용사의 성별도 결정됩니다.
남성명사와 여성명사를 구분하는
규칙이 있으므로 배워두면 편리합니다.

5. 동사변형(conjugaison)
프랑스어는 주어에 따라 동사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이것을 동사변형이라고 하는데요.
주어에는 총 5가지 종류
'나, 너, 그/그녀, 우리, 당신'이 있으므로
동사의 모양도 5가지입니다.
게다가 시제, 법, 능동태/수동태 등에 따라 구분되는
총 21가지의 시제 x 주어에 따른 동사변형 5가지 하면
동사 하나에만 21 * 5 = 105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모두 외워야 한다는 강박보다는,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본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시는 게 편합니다.
따라서 동사변형의 규칙과
사전 보는 방법을 익혀두면 좋습니다.
6. 문장구성
프랑스어는 주어 + 동사 + 목적어 순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SVO 언어입니다.
프랑스어 목적어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 COD(complement object direct),
COI(complement object indirect)입니다.
COD는 전치사(à, de)가 안 붙는 목적어,
COI는 전치사(à, de)가 붙는 목적어입니다.

단, COD와 COI를 대명사로 만들면
대명사화한 목적어가 동사 앞에 오는
구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프랑스어는 SVO 언어지만
목적어를 대명사로 바꾸면
SOV 형태가 되기도 합니다.
프랑스어의 문장구조는
동사 뒤에 어떤 목적어가 오는지 여부로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목적어가 안 오는 경우
S V
2. COD가 오는 경우: 전치사 없음.
S V COD
3. COI가 오는 경우: 전치사 있음.
COI에 à/de 둘 중 하나가 옴.
S V COI
4. COD, COI 둘 다 오는 경우: 전치사 있음.
COI에 à/de 둘 중 하나가 옴.
S V COD COI
5. COI 2개가 오는 경우: COI1에는 전치사 à,
COI2에는 전치사 de가 옴.
S V COI1 COI2
프랑스어 사전에서 동사를 찾아보시면
'동사 + qn/qc' 이런 식의 표시를 볼 수 있는데,
이 동사는 COD를 갖는다는 뜻입니다.
* qn: somebody
* qc: something
'동사 + de inf'는
de라는 전치사가 있지만
COD로 취급합니다
* inf: 동사원형
'동사 + à qn/qc' 나 '동사 + de qn/qc'는
해당 동사가 COI를 갖는다는 뜻입니다.
사전에서 동사를 찾고
이 동사가 COD를 갖는지, COI를 갖는지,
아니면 둘 다 갖는지 알아보는 습관을 들입니다.
7. 존칭의 vous
프랑스어의 vous는 '너희들' 또는
'당신'이라는 뜻입니다.
'당신'이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는
나이가 더 많고 적음보다는
나와 가까운 사이인가 아닌가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8. 법(mode)
프랑스어에는 조건법, 접속법 등의 법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법 2개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조건법은 ~했더라면 하고 가정하거나,
공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접속법은 희망, 의지, 감정과 같은
머릿속에서 생각나는 사실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프랑스어에는 시제, 성별, 악성, 동사변형, 문장구조 등
한국어에는 아예 없거나 다른 요소들이 많아서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죠.
그래도 여기까지 읽으신 분이라면
프랑스어를 배울 역량이 충분히 있으십니다.
저도 아직 배우는 입장이지만,
제 글이 입문자 분께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습니다😄
참고 사이트
'언어 > 프랑스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어 문법] 관사 - 심화편 (0) | 2023.01.17 |
---|---|
[프랑스어 문법] 관사 - 입문편 (0) | 2023.01.12 |
[프랑스어 문법] 부정문에서 관사의 변화 (0) | 2023.01.09 |
[프랑스어 문법] Quiz! 남성명사를 여성명사로 바꾸기 40문제 (0) | 2023.01.06 |
[프랑스어 문법] 명사의 성과 수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