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ckie Venson의 Always Free 라이브 영상과
가사를 첨부합니다.
https://youtu.be/t62CCTH-OlY
가사
I live in a little house
on the side of the street
저는 길가에 있는 작은 집에 살아요
Where the grass is dead
but they water the concrete
잔디는 죽었지만
사람들이 콘크리트에 물을 주는 데서 살죠
* 잔디에는 물을 주지 않으면서
콘크리트에 물을 준다니,
잔디가 자라지 못할 만큼 뜨겁고 건조한 바닥에
필사적으로 물을 뿌려
온도를 내리려는 모습이 연상되네요.
화자는 환경이 오염된 동네에 살고 있나 봐요.
In the summer
I watch the people float by
여름에는 사람들이 떠다니는 걸 보고요
* 잔디에 물을 주면 잔디가 물을 흡수하며
더 푸르게 잘 자라지만,
같은 양의 물을 콘크리트 바닥에 뿌리면
바닥이 흡수를 못 해서 홍수가 나기 쉬운데요,
이에 사람들이 떠다닌다며 과장하여 표현했습니다.
자연을 황폐화시키고
그 위에 세운 도시를 풍자하는 것 같아요.
In the winter
I watch them weep and cry I
Live in a little house on the side of the street
겨울에는 그들이 눈물을 흘리고 우는 걸 봐요 저는
길가의 작은 집에 살아요
* '물을 주다 – 물에 떠다니다 – 눈물을 흘리다'로
물이라는 공통된 소재가 verse 1을 관통하고 있어요.
I live in a little house
on the side of the road
저는 길가의 작은 집에 살아요
Where the people starve
just to feed their cars and boats
사람들이 그저 그들의 차와 보트를 먹이려고
굶어 죽는 데서 살죠
* 자기 자신들에게 정작 필요한 건 사지 않으면서
있어 보이기 위해, 다들 사니까 따위의 이유로
차와 보트를 산 뒤 기름값•보험료•유지비 등으로
거덜 난 사람들을 말합니다.
In thе fall
the men they stomp and shout
가을에는 남자들이 발을 구르며 춤추고 소리치고요
In thе spring
the women frolic about I
Live in a little house on the side of the road
봄에는 여자들이 신명 나서 떠들고 뒹굴거려요 저는
길가의 작은 집에 살아요
* 새싹을 뿌리고 그 싹이 트기 시작하는 봄과
추수의 계절인 가을에 베짱이처럼 놀기만 하는
사람들의 행복은 빈 수레처럼
요란하기 그지없습니다.
겨울에 울던 것과는 대비되네요.
Oh try to believe
That work will set you free
오, 일이 당신을 자유롭게 해 줄 거라고
믿도록 노력하세요
* 그렇다고 베짱이가 아닌 개미가 되어
열심히 일하면 혹독한 겨울에도 웃을 수 있을까요?
개미처럼 사는 사람들은
취업하면 뭐뭐 해야지,
이번 달 월급 받으면 뭐뭐 해야지,
정년퇴직하면 뭐뭐 해야지 등
~하면 행복하고 자유로질 것이라며
행복과 자유를 유보하고
그렇게 되기 위한 조건을 답니다.
화자는 이것 또한 현명한 처사가 아님을 꼬집습니다.
Only wise men see that we were
Always free
오직 현명한 사람들만이
우리는 항상 자유로웠다는 걸 알겠죠
* 하지만 그런 조건 없이도
우리는 행복하고 자유로울 수 있다는 걸
화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I live in a place
where the people wonder why
저는 사람들이 왜 그런지
궁금해하는 곳에 살아요
Why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왜 항상 다른 집 잔디가 더 푸른지요
* verse 1에서 언급됐던 소재인 잔디가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는 법이라는 뜻을 품은 채
다시 등장했습니다.
사람들은 왜 이웃집이 가진 것이
더 좋아 보이는지 의문을 갖습니다.
In the day they go to work and wait
낮에는 일하러 가서 밤을 기다리고요
In the night they drink their fears away I
Live in a place where the people wonder why
밤에는 두려움을 떨쳐버려요 저는
사람들이 왜 그런지 궁금해하는 곳에 살아요
* 사람들은 낮에는
일을 어서 마치고 밤이 오길 기다리고,
밤에는 다음날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기 위해
실질적인 해결책 대신 술을 찾습니다.
타성에 젖은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Oh try to believe
That work will set you free
일이 당신을 자유롭게 해 줄 거라고
믿으려 해 보세요
*사실 'Work will set you free'라는 가사는
아우슈비츠 나치 유대인 수용소의 문에
적혀 있는 문구,
'Arbeit macht frei'에서 따온 것 같습니다.
이것은 독일어인데,
'노동이 그대를 자유롭게 하리라'라는 뜻입니다.
그러나 절멸 수용소인 아우슈비츠에서는
수감자들이 아무리 노동해 봤자 자유로워지기는커녕
대다수가 가스실에서 고통스럽게 죽고,
시신은 화장터에서 소각되었으므로
이것은 매우 기만적인 표어였죠.
그들에게 자유를 주는 것은 노동 따위가 아니라
수용소에서 벗어나는 것뿐이었습니다.
Only wise men see that we were
Always free
오직 현명한 사람들만이
우리는 항상 자유로웠다는 걸 알겠죠
기타 솔로 🎸🎶🎵
Oh try to believe
That work will set you free
오, 일이 당신을 자유롭게 해 줄 거라고
믿도록 노력하세요
Only wise men see that we were
Always free
오직 현명한 사람들만이
우리는 항상 자유로웠다는 걸 알겠죠
We were always free
우린 언제나 자유로웠단 걸요

발랄한 멜로디와 리듬으로
속물적이고 줏대 없이 사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이 사는 황폐하고 삭막한 현대 사회를
비꼬는 노래, <Always Free>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