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문법] 복합과거(passé composé)

참고 사이트

https://youtu.be/G7EEACEefH0



목차

1. 복합과거란?
2. 복합과거 만드는 법
3. 과거분사 만드는 법
4. 과거분사 성수일치
5. 복합과거를 부정문으로 만드는 법




프랑스어에서 과거를 말하는 방법에는
복합과거(passé composé)와
반과거(imparfait)가 있습니다.

사실, 다른 과거 시제도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복합과거와 반과거만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둘만 제대로 사용할 줄 알아도
과거 시제는 다 배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다른 시제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프랑스어 문법] 6가지 과거 시제에 대한 간략한 설명



이번 글에서는 복합과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복합과거란?


복합과거
는 과거에 이미 완료된 사건을 이야기할 때,
또는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
현재에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때 사용되는
과거 시제입니다.

1. 과거에 이미 완료된 사건을 이야기할 때

La prise de la Bastille s'est déroulée
le 14 Juillet 1789.
바스티유의 점령은 1989년 7월 14일에 이루어졌다.


2. (흔히 대화상에서)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
현재에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때


J'ai apporté des fleurs à ma femme.
나는 내 아내에게 꽃을 가져다주었어.
(아내는 지금 꽃을 가지고 있다.)

Je n'ai jamais aimé la bière.
난 맥주를 좋아해 본 적이 전혀 없어.
(나는 지금도 맥주를 싫어한다.)





2️⃣ 복합과거 만드는 법


복합과거는 조동사 être 또는 avoir
과거분사(participe passé)를 결합하여 만듭니다.

복합과거 = être/avoir + 과거분사



조동사 être는 원래
다음 14개의 동사들과 함께 쓰이는데요.

오다(venir)
가다(aller)
들어가다(entrer)
나가다(sortir)
지나가다(passer)
돌아서 가다(retourner)
도착하다(arriver)
머무르다(rester)
떠나다(partir)
올라가다(monter)
내려가다(descendre)
떨어지다(tomber)
태어나다(naitre)
죽다(mourir)

이 동사들은 왕래 발착 동사라고 하고,
모두 자동사로만 쓰입니다.
être와 함께 자동사의 과거분사형을 쓰면
복합과거로 쓸 수 있습니다.

단, 이 동사들이 목적어를 취하여
자동사에서 타동사가 될 경우,
être 대신 avoir를 써서 복합과거로 만듭니다.

Il est entré sur la scène internationale.
그는 국제무대에 등장했다. (être + entrer)

➡ Il y a deux heures,
j'ai entré un profil dans le service Partenaires.
2시간 전, 나는 프로필자료를
Partenaires 서비스에 입력했다.
(avoir + entrer + qqc*)


*qqc: quelque chose의 줄임말로,
영어의 something에 해당합니다.



또한, 조동사 être는 위 14개 동사뿐만 아니라
대명동사복합과거로 만들 때도 사용됩니다.

Elles se sont promenées.
그녀는 산책을 했다.




한편, avoir는 위의 동사들을 제외한
모든 동사와 결합해 복합과거를 만듭니다.

J'ai mangé du chocolat.
난 초콜릿을 먹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복합과거 만드는 법 4가지

1. 조동사 être + 자동사로 쓰인 왕래 발착 동사
(aller, entrer, passer, monter,
tomber, arriver, naitre, venir,
sortir, retourner, descendre, rester,
partir, mourir)
être + 왕래 발착 동사의 과거분사형

2. 조동사 être + 타동사로 쓰인 왕래 발착 동사
avoir + 왕래 발착 동사의 과거분사형 + 목적어

3. 조동사 être + 대명동사(se + 동사원형 형태)
se + être + 대명동사의 과거분사형

4. 조동사 avoir + être와 함께 쓰이는 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들

avoir + 왕래 발착 동사 및 대명동사를 제외한 동사의 과거분사형





그런데, 복합과거를 만들려면 먼저
과거분사를 만들 줄 알아야겠지요.

3️⃣ 과거분사(participe passé) 만드는 법


1군 동사 :
regardé(regarder), aimé(aimer)...

2군 동사 : -i
choisi(choisir), finir(fini) ...

3군 동사 : -u, -s, -t 또는 불규칙
rendu(rendre), pris(prendre),
peint(peindre), eu(avoir)...

연습용으로 앞서 언급된 왕래 발착 동사
과거분사형으로 바꿔보겠습니다.

왕래 발착 동사의 과거분사형

오다(venir) ➡ venu
가다(aller) ➡ allé
들어가다(entrer) ➡ entré
나가다(sortir) ➡ sorti
지나가다(passer) ➡ passé
돌아서 가다(retourner) ➡ retourné
도착하다(arriver) ➡ arrivé
머무르다(rester) ➡ resté
떠나다(partir) ➡ parti
올라가다(monter) ➡ monté
내려가다(descendre) ➡ descendu
떨어지다(tomber) ➡ tombé
태어나다(naitre) ➡
죽다(mourir) ➡ mort




한편, 복합과거를 사용하다 보면
과거분사성수일치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성수일치를 시켜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4️⃣ 과거분사(participe passé) 성수일치


조동사 être와 왕래 발착 동사로 이루어진 복합과거는
주어와 과거분사를 꼭 성수일치시켜야 합니다.

Elle est partie en vacances à Paris.
partir에 e를 붙여 성일치

Ils sont partis en vacances à Paris.
partir에 s를 붙여 수일치




대명동사의 복합과거는
verbes essentiellement pronominaux
(대명동사 형태로만 존재하는 동사
또는 대명동사일 때 뜻이 바뀌는 동사)에서
꼭 성수일치시킵니다.

Marie s'est absentée plus d'un mois.
s'absenter는 absenter 단독으로 쓰지 않는 동사.

Elle s'est aperçue que deux élèves
n'ont pas compris.
s'apercevoir (알아차리다), apercevoir (보다)




그 외의 대명동사들은 해당 동사가
COD(직접목적보어)인 경우 성수일치,
COI(간접목적보어)인 경우 성수일치시키지 않습니다.

Elle s'est lavée.
laver qqn으로 se는 COD, 따라서 성수일치.

Elles se sont parlé.
parler à qqn으로 se는 COI, 따라서 성수일치 X.




만약, 조동사 avoir를 사용한
복합과거 동사의 목적어를
관계사 que로 수식한다면,
해당 목적어와 과거분사를 성수일치를 해야 합니다.

La tisane qu'elle a bue est très facile à préparer.
: boire의 목적어 la tisane이
관계사 que로 수식되고 있으므로
과거분사를 la tisane과 성수일치 시켜 bue

* 아래는 혹시나 위 문장의 구조가
눈에 잘 안 들어오는 분을 위한 설명입니다.
👇 👇 👇
위 문장의 주어만을 뜯어보면,
'목적격 주어 + 수식절' 구조를 갖습니다.
더 풀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이자 뒤에 오는 수식절의 목적어(즉, 목적격 주어) + (관계사 que + 목적격 주어의 관계 대명사 + avoir + 과거분사형 동사)



복합과거에서 과거분사를 성수일치 시켜주는 경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과거분사를 주어와 성수일치 시켜주는 경우 4가지

être + 왕래 발착 동사의 과거분사
복합과거를 이룰 때

se + être + 대명동사의 과거분사에 쓰인
동사가 대명동사 형태로만 존재하거나
대명동사일 때 뜻이 바뀔 때

se + être + 대명동사의 과거분사에 쓰인
동사가 직접목적보어일 때

목적격 주어 + que + 관계대명사 + avoir + 과거분사가 복합 과거를 이룰 때




5️⃣ 복합과거를 부정문으로 만드는 법


복합과거의 부정문을 만들려면
조동사 être/avoir를 ne... pas 사이에 넣고,
pas 뒤에 과거분사를 붙입니다.

복합과거의 부정문 만드는 법
: ne + (se) être/avoir + pas + 과거분사

Je ne suis pas allé en Espagne.
나는 스페인에 가지 않았다.

Il ne s'est pas ennuyé.
그는 지루해하지 않았다.